커뮤니티

대한민국 철강산업 발전에 한국철강협회가 함께합니다.

협회뉴스

1990년에 바라본 2000년대 철강산업의 발전방향은

  • 작성자 admin
  • 등록일 2025-07-29
  • 조회수 137



우리나라 철강산업은 `73년 포항제철소 1기 준공을 시작으로 양적인 성장을 이루었으나 생산 및 수출은 주로 보통강에 집중되어 왔다.

 

`88년 우리나라의 특수강 및 고부가가치강의 생산 구성비는 일본의 `70년대 수준에도 못 미쳤으며, 철강재 평균 수출단가도 일본의 70% 수준인 톤당 464.2달러에 불과할 정도였다.

 

`90년 발표한2000년대 철강산업의 발전방향자료에 따르면, 당시 우리나라 철강산업이 안고 있는 문제점으로 임금인상 및 원화절상 등과 같은 원가압박요인에 의한 원가경쟁력 취약 생산 및 수출구조 취약성 독자적인 기술경쟁력이 부족했다는 점을 들었다.

해당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급변하는 대내외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원가절감 노력을 경주하고, 고부가가치화를 적극 추진하는 한편 국제협력 체제를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또한 `91년 발간된 7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 계획기간중의 철강업종의 산업 정책 방향에 따르면, 국내 철강산업 보통강의 경우는 어느 정도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으나, 특수강 및 고급강은 선진국에 비해 상당히 열위에 있다고 분석하고 있어 2000년대 철강산업의 발전방향 보고서와 일맥상통한다.

 

따라서 철강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적정 설비능력 유지 및 자동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 안정된 원자재 공급을 통해 원가절감을 이루고, 연구개발 투자확대 및 철강21세기운동 활성화를 통해 고부가가치화를 달성하며, 북방시장 수출 확대 및 다자간 철강교역 규범 확립에 적극 참여하는 등 국제협력 체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당시 보고서에 게재된 정부의 역할을 보면 설비투자 촉진 및 차세대 제철기술 등 투자확대를 유도하고, 고철 유통구조를 개선하며, 기술 및 기능 인력의 적정 확보, 공업입지의 원활한 공급, 환경관리상 규제위주에서 개선위주로 정책방향 전환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민간기업은 산업인력의 원활한 확보, 업체간 공동연구, 환경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00년대 철강산업의 발전방향(`902월 발간), 7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 계획기간중의 철강업종 산업정책 방향(`905월 발간)는 도애정 철강협회 전 조사부장이 기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