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대한민국 철강산업 발전에 한국철강협회가 함께합니다.

협회뉴스

`90년대 초 바라본 철강산업 중장기 발전 전략은 ?

  • 작성자 admin
  • 등록일 2025-08-20
  • 조회수 103

`90년 초 국내 철강산업의 기본 발전전략은 양적 성장 대신 질적 성장을 추구하고, 유통체제 개선을 통한 수요자 만족, 해외투자 확대를 통한 세계로 뻗어 가는 철강 국가 건설이었다.

 

`80년 이후 `91년까지 세계 철강 소비는 연평균 0.1% 증가하였으며, 국내 철강산업은 자동차, 조선 등 철강 다소비 산업에 양질의 철강재를 안정적으로 공급하였으나 물류 및 환경 에너지 비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934월 철강협회와, 산업연구원은 철강공업 중장기 발전전략을 마련했다.

 

발전전략에 따르면 철강산업이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설비투자를 효율화하고, 특수강 수요에 대비하여 강종 생산을 확대해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자동화 투자 확대, 용융환원제철기술 등 혁신 철강기술 개발, 원료의 안정적 확보 등이 필요하다고 제시하고 있다.

 

수요자인 고객만족을 위해 물류합리화 및 유통체제를 개선하며, 판매 서비스 향상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한국철강산업이 지속적으로 세계로 뻗어가기 위해서는 해외 투자를 확대하고, 적극적인 국제협력을 강화하며, 무공해 제철소 연구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232월 산업부는 철강산업 발전 원탁회의를 열고 저탄소 철강 생산 전환을 위한 철강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철강산업 발전전략은 철강산업의 새로운 도약 기반을 위해 마련된 것으로 원료-공정-제품-수출로 이어지는 철강 밸류 체인에 걸쳐 ‘30년까지 철스크랩 산업 생태계 구축, 세계 최초로 수소유동환원 기술개발, 친환경 선박용 고망간강 밸류체인 완성, 글로벌 수출 3강 달성 등을 목표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