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원회&협의회

대한민국 철강산업 발전에 한국철강협회가 함께합니다.

철강슬래그위원회

STEEL TUBES AND PIPES COMMITTEE
철강슬래그위원회 설립목적
슬래그 재활용 수요개발 연구를 통한 고부가가치화 및 친환경 이미지 제고와 '제강슬래그 재활용 가이드라인' 이행을 통한 슬래그 활용 현장 관리 강화 및 향후 환경이슈에 체계적 대응을 목적으로 함
회원사 구성
  • 고로 및 제강사, 슬래그 재활용사(가공, 판매, 활용)
  • 고로 및 제강사: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세아베스틸, 세아창원특수강, 한국철강, 와이케이스틸, 대한제강, 환영철강, 한국특강, 한국제강
  • 슬래그 재활용사: 동서개발, 효석, 블루스타E&R, 흥진개발, 에스피네이처, 서광개발, 토성산업, 유네코, 다성산업개발, 신성에코
위원장
진영주 포스코 환경에너지기획실장
연혁
2024년 2월 29일 설립
주요사업
  • 슬래그 관련 환경법령 제·개정 검토 및 공동대응방안 마련
  • 철강슬래그 활용성에 대한 대외 홍보 강화
  • 철강슬래그위원회 활동을 통한 협력 및 소통 기반 확충
  • 슬래그 이해 증진 및 재활용 현장 점검 이행 상태 확인
철강슬래그 생산공정
환경 및 인체 무해성
구분 화학성분(wt%)
SiO₂ CaO Al₂O₂ T-Fe MgO SO₂
고로슬래그 33.8 41.8 11.8 0.5 6.9 0.5
제강슬래그 13.8 44.3 1.5 21.2 5.3 -
항목 Pb Cu As Hg Cd Cr⁶ CN
고로슬래그 N.D N.D N.D N.D N.D N.D N.D
제강슬래그 N.D N.D N.D N.D N.D N.D N.D
기준치(단위:ppm) 3.0 3.0 1.5 0.005 0.3 1.5 1.0
  • 철광석, 석탄, 석회석 등 천연자원으로부터 철강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생성됩니다.
  • 유기불순물이 혼입되지 않고 시멘트, 골재와 성분 조성이 유사(CaO, SiO₂, Al₂O₂ 등)합니다.
  • 고온에서 용용, 생성되는 안정된 물질로 대부분의 화학성분이 용출되지 않습니다.
  • 자원 및 에너지절약, 환경 부하 감소로 자원순환형 사회 구축에 유용한 재활용 재료입니다.
  • 슬래그 가공 제품에 대한 환경표지대상제품 및 인증기준(EL744, 환경부고시 제 2023-297호)과 토공용 슬래그에 대한 우수재활용 제품(GR) 품질인증기준(GR F 4042-2019, 국가기술표준원 공고 제2019-107호) 등 친환경 제품으로서의 가치가 입중되어 재활용 환경성 평가를 면제받고 공공기관 의무구매 자격을 획득하기도 하였습니다.
철강슬래그의 재활용 용도
재활용지침 내 KS 등 재활용 용도별 관련 규격 명시
용도 관련규격 및 설계시공지침
1.시멘트원료 KS L 5210(고로슬래그 시멘트)
KS L 5201(포트랜드 시멘트)
2. 콘크리트용 혼화재 KS F 2563(콘크리트용 고로슬래그미분말)
3.암면원료 KS L 9102(인조광물섬유 단열재)
4.콘크리트용 골재 KS F 2527(콘크리트용골재)
5. 도로용·아스콘용 골재 KS F 2535(도로용 철강슬래그)
도로공사 표준시방서(건설교통부 고시)
6.케이슨 채움재 KS F 2579(케이슨 채움재용 슬래그)
7. 미끄럼방지용 골재 KS F 2532(아스팔트 표면 처리용 부순골재 부순슬래그및 골재)
8. 요업용 재료 용융 공정을 통해 생산되는 제품과 관련된 규격 및 설계시공지침 첨부
9. 철강슬래그를 이용하여 재활용하는 경우가 한국산업규격 등 추가로 지정되는 경우에는 해당 규격
지역별 회원사 현황
2022 철강부교재(슬래그)